▶ 광주 고백 교회는 예배력을 따른 절기를 지킵니다.
초대 그리스도 교회의 예배력이 형성된 배경에는 유대교의 축제력과 로마의 세속력의 영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종교적 환경 속에서 나름의 축제와 절기를 엮어 예배력을 형성한 것입니다. 초대 교회 이후 전통적으로 지켜 온 예배력은 통상 ' 축제력 ’이라 부릅니다. 1년을 주님의 생애로 구분하여 대림절로부터 시작합니다. 광주 고백 교회는 이러한 통상 축제력에 창조절을 포함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 광주 고백교회는 예전적 예배 전통을 따릅니다.
교회는 예배를 통해 하느님을 만나고, 하느님을 찬양하고, 하느님께 감사하며,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세상을 향해 나아갑니다. 이러한 예배의 요소들을 정형화한 것이 예전(Liturgy)이고, 전통으로 이어온 예전을 성실히 따르는 예배를 『예전적 예배』라 부를 수 있습니다. 물론 예전은 각 교파와 전통,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예전의 기본적 요소는 지켜져야 합니다. 특별히 예 전적 예배는, 예배를 받으시는 대상인 하느님을 중심으로 「드리는 예배」에 집중합니다. 예배를 드리는 우리의 만족이 아니라, 예배를 받으시는 하느님과 함께 기뻐하는 예배가 신령과 진리로 드리는 예배의 중심입니다. 우리가 드리는 예배의 예 전적 요소는 먼저 예배력의 성서 일과(Lectionary)를 충실히 따름으로써 ‘설교 중심’이 아니라 하느님이 직접 말씀하시는 예배가 되고자 합니다. 또한, 예배의 순서마다 배치된 ‘응답송’ 은 예배가 특정 역할을 맡은 사람들이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예배 하는 공동체로서 모두가 함께 드리는 「참여하는 예배」가 되도록 합니다.